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이벤트리스너
- c#
- 인프런강의
- 자바스크립트객체리터럴
- .NET
- 인터넷프로토콜
- 비주얼스튜디오
- 틱택토구현
- 인프런자바스크립트
- 인프런인강
- Blazor
- slice
- 자바스크립트파라미터
- 자바스크립트함수
- 객체의비교
- 인프런
- 인프런무료강좌
- 고차함수
- sort
- 콜백함수
- 자바스크립트틱택토
- NPM
- 자바스크립트recude
- 객체리터럴
- 인프런강좌
- 자바스크립트
- HTTP
- 제로초
- EntityFramework
- 코딩
- Today
- Total
목록자바스크립트 (8)
샐님은 개발중

1. 순서도 그리기 2. 구조분해 할당 // document가 객체인데 이 안에 속성으로 들어있는 것을 변수이름과 같게 쓰면 구조분해할당을 사용할 수 있다. const body= document.body; const { body } = document; // 배열에 대 구조분해 할당 예 const arr = [1, 2, 3, 4]; const one = arr[1]; const two = arr[2]; const three = arr[3]; const four = arr[4]; const [one, two, three, four] = arr; const [one, , , four] = arr; // 객체 리터럴 구조분해 할당 예 const obj = { a: 1, b: 2 }; const a = obj...
1. reduce const arry = [1, 2, 3, 4]; // a는 누적값, c는 현재값 arry.reduce((a, c) => { return a + c }); //{} :초기값, 배열을 객체리터럴로 바꿀때 사용할수 있다. arry.reduce((a, c) => { a[c] = c * 10; return a; }, {}); 2. 전체 코드 DOCTYPE html> 반응속도 #screen { width: 300px; height: 200px; text-align: center; user-select: none; } #screen.waiting { background-color: aqua; } #screen.ready { background-color: red; color: white; } #sc..

1. 순서도 그리기 2. 함수의 중복제거 let numOne = ''; let operator = ''; let numTwo = ''; const $operator = document.querySelector('#operator'); const $result = document.querySelector('#result'); document.querySelector('#num-0').addEventListener('click', OnClickNumer2 ('1')); const OnClickNumer2 = (number) => { if (number) { } else { } //return undefined 가 생략되어 사실상 document.querySelector('#num-0').addEventLis..
1. 객체끼리 서로비교하면 false -- 객체가 아닌 값들은 비교하는 true 가 나온다 'str' ==='str' 123===123 false ===false null === null undefined === undefinded -- 객체는 모양이 같아도 생성할 때마다 새로운 객체가 생성된다. -- 같은 객체인지 비교하고 싶다면 기존 객체를 변수에 저장해 두어야 한다. const a = {name :'sky'}; // 객체리터럴 const array ={1,2,a}; //배열 리터럴 console.log(a ===array[2])
1. 객체 리터럴 : 배열이나 함수가 아닌 것중에 특정모양을 가진다. const name ='하니' const year ='1993' const month='3' // 관계가 있는 것들 끼리 묶고싶을 때 객체를 써도 되지만 객체 리터럴을 쓸 수 도 있다. //객체 리터럴 //속성명 = 속성값 으로 구성 // 객체와 차이점은 객체 리터럴은 속성명을 지정할 수 있다. //단순히 묶어 놓고 싶을 때는 객체를 쓰면 된다. const info = { const name ='하니', const year ='1993', const month='3' // 마지막에 쉼표를 붙여줄수 도 있다. }; // 숫자가젤처음, 띄어쓰기, 특수문자가 속성명에 포함되어있으면 따움표로 표시한다. const ojb={ bc:'hello'..
1. 파라미터와 인수의 차이점 // 함수를 선언할때 파라미터 또는 매개변수 라고 한다. function a(parameter){ console.log(parameter) } //함수를 호출할때 아규먼트 또는 인수 라고 한다. a('argument') function a(w,x,y,z){ console.log(w,x,y,z); console.log(arguments); // 전달된 파라미터들을 배열로 출력해준다. * 화살표 함수에서는 사용불가. } a('hello','parameter','Argument'); // z는 값이 전달되지 않았기 때문에 undefinded로 표시된다. 2. 화살표함수 의생략 (a,b) =>{return a+b;} (a,b) => a+b;
1. 함수 : function 일정한 동작을 수행하는 코드를 의미. 보통 function 예약어를 사용하거나 =>화살표 기호를 사용합니다. 화살표 기호를 사용한 함수를 화살표 함수 라고합니다. function() {} //또는 ()=>{} // 이름을 붙여야 재사용가능합니다. fuction a() {} // 함수 선언문 const b = function(){} //함수 표현식 const c = ()=>{} - 변수와 마찬가지로 함수를 만드는 행위를 함수를 선언한다라고 한다. //호출 const a = function(){} a(); 익명함수 : 한번만 쓸때 쓴다. 2. 함수의 반환값 반환값은 기본이 undefined 이다. function a(){} a() //undefined // return 값 re..